2022-01-01 l 조회수 3059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더 과감한 혁신에 도전해 디지털 대전환을 본격적으로 완수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의 ‘핑크펭귄’으로 거듭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2021-12-31 l 조회수 2638
“국내 반도체 기업의 메모리 양산기술이 세계 최고인 건 분명합니다. 하지만 연구개발(R&D) 수준까지 미국과 중국보다 앞선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이종호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사진)는 3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2021-12-30 l 조회수 2880
노 교수는 “최근 인공지능은 여러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며 “필요한 데이터를 인공지능 서비스에 의뢰하게 되면 거기서 데이터 분석을 해주는데, 이 데이터가 자신의 데이터를 남에게 전달해 분석을 하게 되는 시스템이다 보니 개인 데이터가 잘못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넘어갈 수가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1-12-27 l 조회수 2426
노종선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인 '미국 전기전자공학회'의 석학회원으로, ‘이동통신’과 ‘부호이론’ 분야의 국내 대표 연구자다.
2021-12-27 l 조회수 2381
6년 전 주한 독일대사관 소개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산하의 생소한 E-FI위원회가 서울대 빅데이터연구원을 찾아왔다. 6명으로 구성된 이 '연구(Forschung) 혁신(Innovation) 전문가 위원회'는 글로벌 관점에서 독일 대학과 대기업·강소기업·스타트업·국책연구소로 이뤄진 연구 혁신 생태계를 분석해 정책을 제언한다.
2021-12-21 l 조회수 2303
서울대가 반도체 계약학과 설립을 재추진하고 나섰지만 업계에서는 이것만으로는 충분한 인력이 양성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학생들을 더 모집한다고 해도 이들을 교육할 교수의 숫자는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대는 반도체와 관련한 '연합전공'을 신설하는 등 학과 정원 외에 반도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학생들을 추가 선발하고 있지만 교수 충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2021-12-19 l 조회수 215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지난 15일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21년도 공과대학 발전공로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한송엽 명예교수는 학부제도 신설 및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설립, 신공학관 건축기금, 교수 TO 확보 등의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AI 교육에 필수적인 기자재 기증과 조교 인건비를 3년째 기증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2021-12-18 l 조회수 2214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이정우 교수가 Vision 2021에서 HodooAI의 AI 개발 플랫폼의 핵심 기술로 사용 중인 자동학습기 원천 기술을 발표했다.
2021-12-16 l 조회수 417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병호)은 전기정보공학부 정교민 교수가 12월 10일(금) 데이터 마이닝 분야 톱(Top) 학회인 IEEE ICDM에서 ‘2021 IEEE ICDM 10-Year Highest-Impact Paper Award’를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2021-12-02 l 조회수 5185
지난 29일 SIPC는 시스템반도체 상생포럼인 ‘테크비즈콘서트 2021’을 열고 팹리스 생태계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각 기업별 네트워킹과 멘토링을 진행했다. 이날 이혁재 SIPC 센터장을 만나 한국 팹리스가 마주한 문제와 성장방안에 대해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