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학부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언론보도] 차상균 교수, "韓, '파괴적 혁신' 위해 스타트업 중심 창조적 생태계 조성해야"(뉴시스,2016.03.23)

2016.03.25.l 조회수 15765
차상균 서울대 빅데이터硏 원장 "韓, '파괴적 혁신' 위해 스타트업 중심 창조적 생태계 조성해야"
[차상균 교수]
정부·대기업 주도 연구개발(R&D)로는 글로벌 차원의 신속한 산업 생태계 변화에 대처 못해

"글로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만큼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점을 바꾸어야 한다."
차상균 서울대 빅데이터연구원장은 23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시스템·반도체포럼 조찬 세미나'에서 "기업 차원의 연속적 혁신은 누구나 할 수 있다"며 "현재 필요한 것은 산업 패러다임 차원에서 벌어지는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파괴적 혁신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혁신가의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지적하면서, 기존처럼 정부 또는 기업 연구소가 주도하는 연구개발 방식만으로는 빠른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혁신가의 딜레마란 시장을 선도하던 기업이 어느 순간 기존의 프레임에 갇혀 후발 주자에게 역전당하는 것을 말한다.
차 원장은 "소프트웨어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회사들은 아직까지 덩치가 커서 쉽게 움직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며 "우리나라는 시장 차원의 혁신에 익숙하지가 않기 때문에 쫓아가기는 잘했지만, 새로운 것을 하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미 갖춰진 인프라, 영업 환경 등에 적응된 기업들은 과거의 방식에 익숙해져 변화를 하더라도 개선 수준에 그치게 된다.

이런 기업들은 증기기관이 산업 구조를 바꾸고, 스마트폰이 기존 휴대폰 시장을 재편하는 것과 같은 패러다임의 전환기가 오게 되면 시장을 쫓아가기에 급급해진다는 것이다.

그는 "변화에 직면한 상황에서는 아이디어를 직접 시장에 적용해 보려는 스타트업이 많아져야 한다"며 "기존의 정부나 기업 주도 연구개발 방식은 체계의 안정을 추구하거나, 변화를 받아들이기에는 덩치가 커 급변하는 산업에 신속히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회사 입장에서 보면 기존의 생산라인이 있고, 파트너도 있어 안정적이라는 것이 매력적일 수는 있다"면서도 "이미 정해진 것을 쫓아가기만 해서는 글로벌 주도권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작은 연구 성과가 스타트업으로 직결되고, 나아가 인수합병(M&A)을 통해 사업과 산업에 바로 활용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다.

구글의 딥 마인드, 중국의 적극적 중소기업 육성 등 최근 글로벌 패러다임의 변화는 빅데이터를 매개로 일어나고 있는데, 이런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작은 아이디어가 많이 공급되고 사업화로 이어져, 산업 전반에 스며들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차 원장은 "그간 우리나라는 양(量)을 많이 따졌지만, 양으로는 중국을 이길 수 없다"며 "전통적인 방식의 연구 개발로는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워졌다"고 역설했다.
그는 기술이 산업화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해 정책 측면에서의 연속성도 필요하다며 '리더십'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가시적 성과를 드러내기까지 5년, 성과를 기반으로 산업화에 이르기까지 추가로 5년 이상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새로운 기술이 겪는 문제가 초기에 시장의 관심을 받다가 어느 순간 성장하지 못해 혁신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것"이라며 "새로운 모델과 실험적인 것도 필요하지만, 이를 끌고 나갈 리더십이 아주 중요하다"고 말했다.

차 원장은 "우리는 잘 느끼고 있지 못하지만, 세상은 빅데이터를 지배하는 쪽이 산업을 이끄는 방향으로 넓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글로벌 차원의 경쟁에서 밀리게 되면 그동안 들여왔던 우리의 모든 노력이 흩어져 버릴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