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미나] [전기‧정보세미나3] Innovation For a Better Life (더 나은 삶을 위한 ...
· 일시 : 2023-06-01 17:00~18:00
· 연사 : 김병훈 부사장 (LG 전자...
· 장소 : 301동 118호
- [학부&대학원]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에 따른 국외수학(OUT) 학점인정 안내
- [학부] 2023학년도 2학기 「공학연구의 실습 1,2(연구실 인턴)」 교...
- [학부&대학원] 중복수강신청 전산화에 따른 매뉴얼 안내
- [학부&대학원] 2023학년도 하계 계절수업 수강료 납부 및 환불 계획 안내
- [대학원] 2023학년도 1학기 대학원 논문심사 공개발표 관련 안내(석박...
Tenure Track Faculty Positions
학부소식
하정익 교수, 현대차·기아, 11개 대학과 전동화시스템 공동연구실 설립(IT조선,2023.05.24)
인버터 그룹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하정익 교수팀을 비롯해 건국대 조영훈 교수, 고려대 이기복 교수, 중앙대 이형순 교수, 카이스트 남영석 교수, 한양대 윤영두 교수팀 등 총 6개의 연구진이 전기차 전비 향상과 고성능 제어 기술에 대한 공동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2023-05-24
이혁재 교수, 서울대·KAIST·한양대, AI반도체 대학원 선정(전자신문,2023.05.08)
서울대, KAIST, 한양대가 인공지능(AI)반도체 대학원으로 신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AI반도체 분야 석·박사 고급 인재양성을 위한 신규 AI반도체 대학원 3개 대학을 발표했다. 이혁재 서울대 교수 연구팀, 유회준 KAIST 교수 연구팀, 정재경 한양대 교수 연구팀이다.
2023-05-08
박남규·유선규 교수, 불필요한 소자 ‘가지치기’로 광자 회로 효율성 높였다(조선비즈,2023.04.26)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의 박남규, 유선규 교수 연구팀이 범용 양자 컴퓨터와 광자 기계학습(머신러닝)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광자 회로 가지치기 기법’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2023-04-26
정교민 교수, 제 11회 대화시스템기술챌린지(DSTC11) 정확도 분야 1등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정교민 교수 연구팀 (주성호* 박사과정, 이강일* 박사과정, 민경민* 석사과정, *: 공동기여)이 LG AI Research 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대화시스템 분야의 세계적인 경진대회인 제 11회 대화시스템기술챌린지(The eleventh Dialogue System Technology Challenge DSTC11)의 주관적 지식을 사용한 목적 지향적 대화 모델 (Task-oriented Conversational Modeling...
2023-04-26
정덕균 교수, 과학정보통신의날 황조 근정훈장 수상(열린뉴스통신,2022.04.21)
황조근정훈장은 반도체 연구개발사업의 운영위원장으로 대한민국 반도체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정덕균 서울대학교 석좌교수가 수상하였다.
2023-04-21
성원용 명예교수, 과기정통부 두 번째 GPT특강…활용도 높이는 질문법 공부(연합뉴스,2023.04.0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주요 간부와 직원을 대상으로 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원리와 활용법에 대한 전문가 특강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열린 챗GPT 온라인 수업에 이은 두 번째 AI 특강으로, 음성인식과 인공신경망 분야의 석학 성원용 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가 강연자로 나섰다.
2023-04-03
이혁재 교수, [기고]반도체 클러스터의 성공 조건(서울경제,2023.03.17)
세계 각국 정부는 반도체 공급망 주도를 위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미국은 반도체 지원법을 통해 반도체 생산 기업 유치를 위한 보조금·세액공제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경쟁국에 투자를 제한하는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2023-03-17
김성철 교수, 서울대 평의원회, 신임 김동욱 의장·김성철 부의장 선출(뉴스원,2023.03.09)
서울대학교 평의원회는 지난 7일 제17기 후반기 신임 의장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김동욱 교수를 선출했다고 9일 밝혔다. 신임 부의장에는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김성철 교수가 선출됐다.
2023-03-09
김장우 교수, 인텔·아마존도 눈독 들이는 DPU…이종호, 국내 유일 스타트업 방문(한국경제,2023.02.02)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일 국내 유일한 데이터 처리장치(DPU) 개발 스타트업 망고부스트를 찾았다. DPU는 ‘서버 호텔’ 데이터센터 내 서버 과부하를 줄이는 차세대 시스템반도체다. 이 장관은 “해외 기업보다 열세에 있는 시스템반도체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며 “기업 애로사항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방문했다”고 말했다.
2023-03-07
신형철 교수, [포럼]반도체 초격차 갉아먹는 反국익 국회(문화일보,2023.03.03)
반도체 분야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해지고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경쟁국들은 자국 산업의 육성 및 보호를 위한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달 28일 미국 정부는 반도체 기업에 5년간 520억 달러(약 68조 원)의 막대한 보조금 지급 계획을 발표함과 동시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지급하는 390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 신청에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었다.
2023-03-03
정덕균 교수, SK하이닉스, '대통령의 반도체 교사' 정덕균 사외이사로 선임(한경,2023.02.26)
SK하이닉스가 ‘대통령의 반도체 교사’로 불리는 반도체 설계 전문가 정덕균 서울대 석좌교수(전기·정보공학부·사진)를 사외이사로 선임한다. 고성능 D램, 시스템반도체 등의 설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
2023-02-26
서승우 교수, LG전자, 내달 27일 정기주총 개최… 車 전문가 서승우 교수 사외이사 선임(뉴데일리경제,2023.02.24)
LG전자는 이번 주총에서 서승우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를 신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임하는 안건을 올릴 예정이다.
2023-02-24
박남규·유선규 교수, 매질 변화 없이 '시간'으로 전자파 제어한다(동아사이언스,2023.02.21)
서울대 공대는 21일 박남규 ·유선규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전자파 소자의 기능적 구조를 시간 축으로 옮겨 균일한 물질로 전자파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파 프리즘을 구현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에 20일 공개했다고 밝혔다.
2023-02-21
유선규 교수, 빛의 산란 제어하는 방법 찾았다… 광학 AI 시대 열린다(사이언스조선,2023.02.14)
서울대 공대는 유선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광학 네트워크에 입자가 늘어나는 진화 패턴을 분석해 빛의 산란 현상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2023-02-14
이병호 교수, The knight of holographic displays(nature photonics, 2023)
Recollected by his colleagues as a creative and humble scholar with an indomitable will, Byoungho Lee was enthusiastic about realizing the holistic potential of holographic displays.
2023-01-25
이혁재 교수, ‘미지근 반도체법’ 재개정 시급하다(문화일보,2023.01.11)
반도체 실적 하락의 주요인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반도체 수요의 급격한 감소이며, 당분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경기침체기에는 생산시설과 연구개발(R&D) 투자가 줄어들고 그 결과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2023-01-11
이혁재 교수, [이혁재의 칩 비하인드]국산 AI 반도체 활용, 단계적 추진해야(서울경제,2023.01.07)
인공지능(AI)과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이다. 이러한 두 핵심 기술을 연결해주는 제품이 AI 반도체다. 세계 많은 나라에서 AI 반도체 개발 경쟁이 치열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의 선제적 지원과 벤처캐피털의 적극적인 투자에 따른 국산 AI 반도체 개발이 활발하다.
2023-01-07
권성훈 교수, AI기술로 ‘암세포 네트워크’ 규명… 차세대 암 진단 지표 개발(문화일보,2023.01.04)
인공지능(AI)의 실력이 사람과 거의 비슷하거나 오히려 능가하는 대표 분야가 2가지 있다. 자연어 처리(NLP)와 이미지 처리가 바로 그것이다. 자연어 처리는 인간의 일상 대화를 컴퓨터가 알아듣게 하는 기술이다. 스마트 기기 주인이 말로 하는 지시를 척척 이행하는 시리, 빅스비, 알렉사 등 AI 비서와 은행, 관공서에서 안내원을 대신해 민원·상담 전화를 받는 챗봇은 NLP 기술의 상용화 사례다.
2023-01-04
박세웅,심규석,이혁재 교수, 공학한림원, 2023년도 신입회원 선정(전자신문,2022.12.27)
국내 공학기술 분야 최고 권위 단체인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권오경)은 10개월 간 다단계 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된 2023년도 신입회원(정회원 44인, 일반회원 93인) 명단을 발표했다.
2022-12-29
이종호S 교수, [ET시론] 과학기술 혁신이 선도하는 담대한 미래(전자신문,2022.12.16)
전 세계는 불과 5년 전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 팬데믹 영향이 가시지 않은 가운데 기술패권 경쟁의 심화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이어졌다.
2022-12-26
차상균 교수, [매경시평] 한국의 대학이 세계를 선도하려면(매일경제,2022.12.25)
3년 전 쓰기 시작한 매경 시평을 크리스마스에 마무리 지으면서 성경의 요한복음 구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와 마주치게 됐다.
2022-12-25
김영민 교수,전자공학회, 해동상 수상자 선정...학술상 전병우 교수에게(전자신문,2022.12.07)
대한전자공학회(회장 서승우)가 주관하고 해동과학문화재단(이사장 김영재)이 후원하는 제32회 해동상 수상자가 선정됐다. 해동젊은공학인상으로 학계에서는 김영민 서울대학교 교수가 선정됐다.
2022-12-21
이혁재 교수,53대 대한전자공학회장 선출(전자신문,2022.11.27)
대한전자공학회는 이혁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제53대 회장으로 선출했다고 27일 밝혔다. 신임회장 임기는 내년 1월 1일부터 1년이다.
2022-12-14
홍용택 교수,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에 김소영·안지훈·김재국 교수 등 28명(동아사이언스,2022.11.20)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7일 열린 '2022년도 제2회 정기총회'에서 2023년도 정회원 28명을 선출했다고 20일 밝혔다. 신개념 디스플레이 반도체 소자 및 공정·재료 분야 국내 최고 연구자 홍용택 서울대 교수가 선출됐다.
2022-11-21
이진호 교수,2022 PACT에서 Best Paper Award 수상(2022.10)
이진호 교수 연구팀이 연세대학교 및 삼성전자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컴퓨터 아키텍처 분야 우수 학술대회인 2022 PACT(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rallel Architectures and Compilation Techniques)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했다.
2022-11-17
오정석 교수,KT "서울대와 5G 품질 개선하는 안테나 기술개발 성공"(연합뉴스,2022.11.15)
KT는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오정석 교수 연구팀과 초소형 안테나 기술인 RIS(지능형 반사 표면) 기술을 개발, 검증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2022-11-15
이혁재 교수, [이혁재의 칩비하인드]반도체 인력 확보를 위한 리턴십의 중요성(서울경제,2022.11.12)
반도체 산업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10년간 15만 명을 육성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2022-11-12
홍용택 교수, <포럼>中 추격 따돌려야 할 디스플레이 기술(문화일보,2022.11.10)
지난 2017년 5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가슴이 쭉 늘어남을 느꼈다.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술대회(SID)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선보였던 스트레처블(stretchable) AMOLED(아몰레드)를 보면서 느낀 자부심과 설렘은 지금도 생생하다.
2022-11-10
서광석,이신두 명예교수, 尹정부 '1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민간위원 22명 위촉(뉴스1,2022.10.31)
윤석열 정부의 첫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민간위원 22명이 위촉됐다. 31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지난 28일자로 1기 민간위원 22명이 위촉됐다고 밝혔다. 과기자문회의는 정책 및 예산 심의 기능을 담당하는 심의회의 위원 10명과 대통령 자문 기능을 담당하는 자문회의 위원 12명으로 구성된다.
2022-10-31
이종호S 교수, "반도체처럼…美·中이 탐낼 만한 기술, 3~4개는 더 갖고 있어야"(한국경제,2022.10.25)
과학기술이 글로벌 패권 경쟁의 전면에 섰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산업 육성법 등을 앞세워 헤게모니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에도 반도체 공급망 협력체 ‘칩4’ 동맹 동참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제14차 5개년 계획을 통해 과학기술 혁신과 자립 자강을 강조하는 중국도 양보할 기미가 없다.
2022-10-25
김성재 교수, 신양공학학술상 수상(2022.10.19)
2022년 신양공학학술상은 교육분야에서 2명, 학술분야에서 3명, 산학협력분야에서 1명의 수상자가 선정됐다. 수상자는 ▲ 교육분야 기계공학부 도형록 교수, 산업공학과 박건수 교수, ▲ 학술분야 재료공학부 도준상 교수, 전기·정보공학부 김성재 교수, 컴퓨터공학부 강유 교수, ▲ 산학협력분야 조선해양공학과 우종훈 교수다.
2022-10-21
김지수,이유나,최재우 학생(지도교수: 김재하) 제23회 대한민국 반도체설계대전 기업특별상 수상
우리 학부생인 김지수, 이유나, 최재우 학생이(지도교수: 김재하) 제23회 대한민국반도체설계대전에 출품하여 (작품명: XMODEL을 이용한 C-PHY 모델링) 기업특별상을 수상하였다.
2022-10-12
성원용 명예교수, [단독③] 음성인식 전문가 성원용 교수 일문일답 “국민은 자막만 기억…‘데이터 조작’과 언론의 위축은 별개”(디지털타임스,2022.10.01)
'음성인식 전문가'로 꼽히는 성원용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명예교수는 해당 논란을 두고 "윤석열 대통령 막말 파문 문제의 핵심은 데이터 변조"라고 밝혔다. 불확실한 소리에 글자(자막)가 더해지면서,그 글자처럼 들린다는 게 성원용 명예교수의 주장이다.
2022-10-01
이경무 교수, 인공지능 시각지능 분야 세계적인 석학 '이경무 교수',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로 임용(인공지능신문,2022.09.02)
전기정보공학부 이경무 교수(대학원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주임교수)는 인공지능(AI) 특히,시각지능(computer vision)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복원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있으며 현재까지 Google scholar 총피인용수가 28,000회를 상회한다.
2022-09-28
서종모 교수, [기고]인류의 발전을 위한 보건의료 기술혁신(동아일보,2022.09.20)
COVID-19가 전 세계를 강타한 지 어느새 2년 반이다. 변이가 계속 생기면서 상황 종료는 요원해 보이고, 방역 태세도 점차 약해지고 있다.
2022-09-20
이혁재 교수, 韓기업 공유 '반도체 플랫폼' 만들자(서울경제,2022.09.17)
우리나라 시스템반도체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그동안 민·관의 많은 노력과 지원이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경쟁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시스템반도체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스마트폰용 반도체인 AP(Application Processor)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한때 세계 1위였으나 갈수록 그 순위가 낮아지고 있다.
2022-09-17
이종호S 교수, "교수 출신은 얼굴마담"…선입견 깬 과기부 장관(한국경제,2022.09.16)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사진)의 ‘작명 센스’가 화제가 되고 있다. 장관이 큰 그림을 그리는 데 그치지 않고 정책명, 슬로건에 대한 아이디어까지 직접 내고 있어서다. 이 장관이 교수 출신에게 흔히 붙는 ‘얼굴마담’이란 선입견을 지우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