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학부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5월 과기인상에 김재준 교수…HW·SW 통합 AI모델 경량화

언론보도
5월 과기인상에 김재준 교수…HW·SW 통합 AI모델 경량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5월 수상자로 김재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경량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연산하는 반도체 가속기를 개발해 다양한 환경에서 저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AI 기반 기술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25.05.07.l 3
홍용택 교수, 과학기술훈장·황조근정훈장 수상

언론보도
홍용택 교수, 과학기술훈장·황조근정훈장 수상

홍용택 교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 혁신과 국제 표준화 활동 공로로 과학기술훈장 혁신장을 받았다.
2025.04.28.l 4
최우영 교수 연구팀, AEM 2025년 4월 호 표지 논문 채택

학부
최우영 교수 연구팀, AEM 2025년 4월 호 표지 논문 채택

최우영 교수가 이끄는 삼차원 집적 및 소자 연구실 (TIDL)의 우재승 박사과정의 논문이 2025년 4월 호 Advanced Electronic Materials (이하 AEM)의 표지 논문으로 채택되었다.
2025.04.04.l 608
2024학년도 전기(제79회) 전기·정보공학부 졸업행사

학부
2024학년도 전기(제79회) 전기·정보공학부 졸업행사

2025년 2월 26일, 2024학년도 전기(제79회) 전기·정보공학부 졸업행사를 열고 박사 57명, 석사 37명, 학사 97명에게 학위를 수여하였다. 대표자 학위수여 및 대학원 우수논문상 상패 전달, 최우수,최우등 졸업자 상장수여를하였고, 심규석 교수가 졸업생들의 밝은 미래를 위해 축하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2025.03.06.l 1520
최우영 교수 연구팀, AIS 2025년 2월 호 표지 논문 채택

학부
최우영 교수 연구팀, AIS 2025년 2월 호 표지 논문 채택

최우영 교수가 이끄는 삼차원 집적 및 소자 연구실 (TIDL)의 “박종혁, 김성준” 연구원의 논문이 2025년 2월 호 Advanced Intelligent Systems (이하 AIS)의 표지 논문으로 채택되었다.
2025.03.05.l 674
최재혁 교수 연구팀, 제31회 삼성 휴먼테크논문대상 금상 및 은상 수상

학부
최재혁 교수 연구팀, 제31회 삼성 휴먼테크논문대상 금상 및 은상 수상

최재혁 교수가 이끄는 반도체회로 및 시스템 설계 연구실 (ICSL)의 “김재호, 한명호, 방주은” 연구원 팀과 “채문재, 장세헌, 황찬웅, 박한기” 연구원 팀의 총 2편의 논문이 올해로 31회를 맞은 “제31회 삼성 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금상과 은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2025.02.24.l 1225
전기·정보공학부,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서 대학부문 최다 수상 학과 특별상 등 대거 수상 쾌거

학부
전기·정보공학부,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서 대학부문 최다 수상 학과 특별상 등 대거 수상 쾌거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전기·정보공학부(학부장 홍용택 교수)가 대학부문 특별상, 대학부문 대상 등을 대거 수상했다.
2025.02.19.l 818
문지훈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심병효),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대상 수상

언론보도
문지훈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심병효),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대상 수상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문지훈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심병효)이 삼성전자가 주최한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의 'Communication & Networks' 분과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596
이정우 교수팀, 인공지능 모델 신뢰도 높이는 AI 편향성 감소 기술 개발

언론보도
이정우 교수팀, 인공지능 모델 신뢰도 높이는 AI 편향성 감소 기술 개발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이정우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학습 데이터에 존재하는 편향성(Bias)을 감소시키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141
곽정훈 교수 연구팀, 머신러닝을 이용한 유기열전소자 성능 최적화 기술 개발

언론보도
곽정훈 교수 연구팀, 머신러닝을 이용한 유기열전소자 성능 최적화 기술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 연구팀은 유기열전소자의 성능과 공정 조건을 효율적으로 최적화하는 ‘머신러닝 기반 실험설계법’을 개발하였다. 이는 성공적인 AI 활용 사례로, 전통적인 반복 실험에 비해 연구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며, 다차원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게 하는 의미가 있다.
2025.02.18.l 135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지도교수 정윤찬), VR·AR 장치에 최적화된 카메라 초소형화 기술 개발

언론보도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지도교수 정윤찬), VR·AR 장치에 최적화된 카메라 초소형화 기술 개발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연구팀이 차세대 나노광학 소자인 ‘메타표면’을 활용한 폴디드 렌즈(folded lens) 시스템으로 카메라의 부피를 대폭 줄이는 광학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130
컴퓨터비전 연구팀 (지도교수 한보형), 끝없이 영상 생성하는 AI 비디오 생성 기술 개발

언론보도
컴퓨터비전 연구팀 (지도교수 한보형), 끝없이 영상 생성하는 AI 비디오 생성 기술 개발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한보형 교수가 지도하는 컴퓨터비전 연구팀(CVLAB)이 별도의 학습 없이 무한한 길이의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기술 ‘FIFO-Diffusio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