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학부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전기·정보공학부,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서 대학부문 최다 수상 학과 특별상 등 대거 수상 쾌거

언론보도
전기·정보공학부,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서 대학부문 최다 수상 학과 특별상 등 대거 수상 쾌거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전기·정보공학부(학부장 홍용택 교수)가 대학부문 특별상, 대학부문 대상 등을 대거 수상했다.
2025.02.19.l 39
문지훈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심병효),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대상 수상

언론보도
문지훈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심병효),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대상 수상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문지훈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심병효)이 삼성전자가 주최한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의 'Communication & Networks' 분과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32
이정우 교수팀, 인공지능 모델 신뢰도 높이는 AI 편향성 감소 기술 개발

언론보도
이정우 교수팀, 인공지능 모델 신뢰도 높이는 AI 편향성 감소 기술 개발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이정우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학습 데이터에 존재하는 편향성(Bias)을 감소시키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20
곽정훈 교수 연구팀, 머신러닝을 이용한 유기열전소자 성능 최적화 기술 개발

언론보도
곽정훈 교수 연구팀, 머신러닝을 이용한 유기열전소자 성능 최적화 기술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 연구팀은 유기열전소자의 성능과 공정 조건을 효율적으로 최적화하는 ‘머신러닝 기반 실험설계법’을 개발하였다. 이는 성공적인 AI 활용 사례로, 전통적인 반복 실험에 비해 연구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며, 다차원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게 하는 의미가 있다.
2025.02.18.l 18
최우영 교수 연구팀, PIM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 우수과제 수상

언론보도
최우영 교수 연구팀, PIM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 우수과제 수상

최우영 교수 연구팀 (삼차원 집적 및 소자 연구실: TIDL)이 2024년 11월 25일 부산 윈덤그랜드호텔에서 개최된 PIM (processing in memory) 인공지능반도체 성과보고회에서 연구성과 우수과제를 수상하였다.
2025.02.18.l 16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지도교수 정윤찬), VR·AR 장치에 최적화된 카메라 초소형화 기술 개발

언론보도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지도교수 정윤찬), VR·AR 장치에 최적화된 카메라 초소형화 기술 개발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연구팀이 차세대 나노광학 소자인 ‘메타표면’을 활용한 폴디드 렌즈(folded lens) 시스템으로 카메라의 부피를 대폭 줄이는 광학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13
컴퓨터비전 연구팀 (지도교수 한보형), 끝없이 영상 생성하는 AI 비디오 생성 기술 개발

언론보도
컴퓨터비전 연구팀 (지도교수 한보형), 끝없이 영상 생성하는 AI 비디오 생성 기술 개발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한보형 교수가 지도하는 컴퓨터비전 연구팀(CVLAB)이 별도의 학습 없이 무한한 길이의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기술 ‘FIFO-Diffusio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5.02.18.l 14
서울대 초전도응용연구센터(센터장 한승용 교수), 영국 원자력청(UKAEA) STEP 핵융합 사업 참여

언론보도
서울대 초전도응용연구센터(센터장 한승용 교수), 영국 원자력청(UKAEA) STEP 핵융합 사업 참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초전도응용연구센터(센터장: 전기정보공학부 한승용 교수)가 영국 원자력청(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UKAEA)이 주관하는 STEP(Spherical Tokamak for Energy Production) 핵융합 사업에 공식적으로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2025.02.18.l 14
심병효 교수 IEEE Fellow및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출

언론보도
심병효 교수 IEEE Fellow및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출

심병효 교수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과기한림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20년 이상 활동하며 해당 분야 발전에 현저히 공헌한 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3단계에 걸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출한다. 심 교수는 밀리미터파 통신분야에서 빔포밍 기술의 개발 및 5G 이동통신 상용화 그리고 초저지연-초고신뢰 통신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 공로를 인정받아 석학회원으로 선정되었다. 
2024.12.06.l 1115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 연구팀, 머신러닝을 이용한 유기열전소자 성능 최적화 기술 개발

언론보도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 연구팀, 머신러닝을 이용한 유기열전소자 성능 최적화 기술 개발

곽정훈 교수팀이 유기 열전소자의 성능과 공정 조건을 효율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반 설계 및 최적화 기술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유기 열전소자 분야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한 최초의 사례로, 유기 반도체 기반 소자의 고효율화를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번 연구 성과는 에너지 소재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Advanced Energy Materials (IF = 24.4)‘ 에 11월 26일 게재됐다.
2024.12.02.l 미디어데일 l 91
최우영 교수 연구팀, PIM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 우수과제 수상

학부
최우영 교수 연구팀, PIM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 우수과제 수상

최우영 교수 연구팀이 지난 11월 25일 PIM (processing in memory) 인공지능반도체 성과보고회에서 연구성과 우수과제를 수상하였다. 금번 우수연구성과 선정은 상용화 가능성이 검증된 전하저장형 실리콘 소자를 기반으로 소자/공정/설계를 아우르는 연구를 완성도 있게 수행한 점이 높게 인정되었다.
2024.11.28.l 796
최우영 교수 연구팀, IEEE EDL 2024년 12월 호 및 2월 호 표지 논문 채택

학부
최우영 교수 연구팀, IEEE EDL 2024년 12월 호 및 2월 호 표지 논문 채택

최우영 교수가 이끄는 삼차원 집적 및 소자 연구실 (TIDL)의 “이진욱, 박근태, 신명수” 연구원과 “류민정, 우재승” 연구원의 논문이 각각 2024년 12월 호와 2월 호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이하 EDL)의 표지 논문으로 채택되었다.
2024.11.16.l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