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서한솔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곽정훈 교수)가 2025 삼성디스플레이 산학협력 기술논문대회에서 "DIrect Photolithography of Colloidal InP-Based Quantum Dots Utilizing the Photoligation Method" 제목의 논문으로 은상을 수상하였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고 권위의 반도체 학회인 IEEE IEDM (International Electron Devices Meeting) 2025에서 총 3편의 논문이 채택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 성과는 소재, 소자, 시스템을 아우르는 폭넓은 연구 역량을 입증하며, 차세대 인공지능·저전력 반도체 기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최재혁 교수가 이끄는 반도체회로 및 시스템 설계 연구실 (ICSL) "서정범, 신유환, 이준석, 이주한" 연구원 팀, "채문재, 장세헌, 이승재, 이사랑" 연구원 팀과 "김재호 한명호 송현준 곽서현" 연구원 팀이 올해로 26회를 맞은 "제26회 대한민국반도체설계대전"에서 각각 대통령상과 2개의 기업특별상(매스웍스 코리아, SK 하이닉스)을 수상하였다.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전기에너지변환 연구실(지도교수: 하정익)의 윤담·최성혁 연구팀이 최근 개최된 집적 전력 변환 및 전력 관리 기술 분야의 최고 권위 있는 국제 워크숍인 ‘PwrSoC 2025 – 9th International Workshop on Power Supply on Chip’에서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Best Poster Award Presentations)을 수상하였습니다.
2025년 8월 28일, 2024학년도 후기(제79회) 전기·정보공학부 졸업행사를 열고 박사 52명, 석사 20명, 학사 62명에게 학위를 수여하였다. 대표자 학위수여 및 대학원 우수논문상 상패 전달, 최우등 졸업자 상장수여를하였고, 정윤찬 교수가 졸업생들의 밝은 미래를 위해 축하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 서울대, 2024년 6월부터 영국원자력청(UKAEA)과 함께 차세대 핵융합 발전소 STEP(Spherical Tokamak for Energy Production)에 사용될 대전류 고온초전도(HTS) 케이블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의 1단계 수행하고, 2단계 기술 개발 협약 체결을 완료(360만 파운드, 한화 66억원) • 국내기업 파워닉스, 스탠다드마그넷과 협력하여 개발된 이번 고온초전도 핵융합용 케이블 샘플은 2025년 7월, 국제적 케이블 시험 기관인 스위스 로잔공대 SULTAN시설에서의 평가에서 시설 한계까지 도달, 통전성능과 내구성을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