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학부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2023학년도 전기(제78회) 전기·정보공학부 졸업행사

학부
2023학년도 전기(제78회) 전기·정보공학부 졸업행사

2024년 2월 26일, 2023학년도 전기(제78회) 전기·정보공학부 졸업행사를 열고 학사 107명, 석사 23명, 박사 62명에게 학위를 수여하였다. 대표자 학위수여 및 대학원 우수논문상 상패 전달, 최우수/최우등 졸업자 상장수여를 하였고, 최진영 교수가 졸업생들의 밝은 미래를 위해 축하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번 행사에서는 졸업생들의 학교생활 사진으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재학시절에 추억을 되새겨보는 이벤트가 있었다.
2024.03.04.l 3778
오정석 교수, 위성기반 5G 무선통신용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 기술 개발 [MWC2024]

언론보도
오정석 교수, 위성기반 5G 무선통신용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 기술 개발 [MWC2024]

KT(대표이사 김영섭)는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연구팀과 5G 무선 통신 주파수 3.5GHz 대역과 KT스카이라이프 위성 주파수 12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이하 RIS,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KT는 이 기술을 MWC 2024에서 공개했다.
2024.02.28.l 100

언론보도
의대 블랙홀 넘을 첨단 인력 인센티브[포럼]

2000년도에 76만 명이 넘던 우리나라 전체 고등학교 졸업생은 2022년도에는 44만 명대로 줄었고, 이 감소세는 계속될 것이다. . 상위권 대학의 입학 정원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이는 우리나라 상위권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평균 수준이 이전에 비해 상당히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2024.02.06.l 1161
정덕균 명예교수, ‘강대원상’ 선정

언론보도
정덕균 명예교수, ‘강대원상’ 선정

정덕균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석좌교수와 안진호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겸 한양대 연구부총장이 제7회 강대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한국반도체학술대회 상임운영위원회가 25일 발표했다.
2024.01.26.l 419

학부
한승용 교수, 초전도 양자컴퓨터의 양자 신호 손실 저감 광대역 필터 개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초전도 응용 연구실(지도교수: 한승용)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단장: 이용호)과 공동 연구를 통해 초전도 양자컴퓨터의 양자 신호 손실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광대역 필터를 발표하였다.
2024.01.26.l 2627

언론보도
곽정훈 교수, 유기반도체 이용 고성능 열전 에너지 변환 기술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와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원광대학교 탄소융합공학부 김성현 교수 연구팀(박주형, 장재규 1저자)이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유기반도체 열전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4.01.26.l 1261

언론보도
백윤흥 교수, 제29대 한국정보처리학회 회장 취임

한국정보처리학회는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백윤흥 교수가 2024년 제29대 신임회장으로 취임했다고 25일 밝혔다.
2024.01.26.l 30
이병걸 연구원(지도교수: 홍용택),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electronics and Plasma Technology 2024...

학부
이병걸 연구원(지도교수: 홍용택),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electronics and Plasma Technology 2024...

차세대 유연·신축성 전자소자 연구실(지도교수 홍용택)에서 체온을 활용한 지속적인 에너지 하베스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공기 중에서 에너지 발전량이 미약하고 지속시간이 짧았던 기존의 열전소자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분 증발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힛싱크를 개발하였다.
2024.01.22.l 1319
곽정훈 교수, The 30th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s (IDW ’23)에서  Best Paper Award 수상

학부
곽정훈 교수, The 30th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s (IDW ’23)에서  Best Paper Award 수상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가 일본에서 열린 The 30th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s (IDW ’23)학술대회에서 초청 발표한 연구 결과가 MEMS and Emerging Technologies for Future Displays and Devices (MEET) 세션의 Best Paper Award 로 선정되었다.
2024.01.22.l 791
이주현 연구원(지도교수: 정윤찬),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3D Systems and Applications Best Poster Aw...

학부
이주현 연구원(지도교수: 정윤찬),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3D Systems and Applications Best Poster Aw...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3D 디스플레이 연구팀(지도교수 정윤찬)이 홀로그램 도메인에서의 매니폴드 학습(manifold learning)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복소 홀로그램을 압축하고 재생하기 위해 기존의 오토인코더 구조를 차용하였으며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이미지 도메인이 아닌 홀로그램 도메인에서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전략을 적용하였다.
2024.01.22.l 906
채민석 연구원(지도교수: 정윤찬),  IEEE Photonics Conference 2023 Best Student Poster Competition 2위 수상

학부
채민석 연구원(지도교수: 정윤찬),  IEEE Photonics Conference 2023 Best Student Poster Competition 2위 수상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3D 디스플레이 연구팀(지도교수 정윤찬)이 수렴축을 갖는 렌즈어레이를활용하여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확장된 시야각의 이미지를 넓은 영역에서 시청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사용자 동공의 위치와 직경과 같은 조건에 따라 이미지를 시청할 수 없었던 기존 방식을 보완해, 작은 크기의 동공이 연속적으로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2024.01.22.l 658
유선규·박남규 교수 연구팀 '안정적으로 빛의 색을 바꾸는 위상학적 펌프' 구현 성공

언론보도
유선규·박남규 교수 연구팀 '안정적으로 빛의 색을 바꾸는 위상학적 펌프' 구현 성공

유선규 교수, 박남규 교수 연구팀이 빛의 주파수를 변조할 수 있는 3차원 위상학적 펌프(pump)를 2차원 평면 상에 구현했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주파수 공간을 가상의 합성차원(synthetic dimension)으로 활용함으로써, 복잡한 3차원 입체에서의 물리현상을 2차원 평면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
2024.01.19.l 베리타스알파 l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