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최우영 교수 연구팀, IEEE EDL 2024년 12월 호 및 2월 호 표지 논문 채택
![](/webdata/upimages/f8ezc23zc73zc3bzbbfz187z0c7z275z8d9za58z2a.png)
![](/webdata/upimages/069z40ezf81z042z742z74az13bz64az5a2za0ez33.png)
![](/webdata/upimages/29az766z14ez83fzcc1zf09zf1fz15dz229z855ze4.png)
![](/webdata/upimages/8c7z4d3za6az06ez155z2adzf80zcdfz05fzf2dz50.png)
왼쪽부터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최우영 교수, 이진욱, 박근태, 류민정 박사과정
![](/webdata/upimages/fe9z4fbzf81z11dzc03z226z3c8z09fz72bz515z7c.png)
![](/webdata/upimages/74dz7d7ze74z6adzbf1z8ebz7d2z414z3ccz90fz07.png)
왼쪽부터 24년도 12월 호와 2월 호 EDL 표지
최우영 교수가 이끄는 삼차원 집적 및 소자 연구실 (TIDL)의 “이진욱, 박근태, 신명수” 연구원과 “류민정, 우재승” 연구원의 논문이 각각 2024년 12월 호와 2월 호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이하 EDL)의 표지 논문으로 채택되었다.
1980년에 창간된 EDL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이론, 모델링, 설계, 성능 및 신뢰성에 대한 독창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다루는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술지중 하나이다.
최우영 교수 연구팀에서 EDL 해당 호의 표지로 채택된 2편의 논문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4년 12월 호 [이진욱/박근태 공동1저자] CMOS 배선층에 삼차원으로 집적한 나노전기기계 메모리 스위치의 신개념 torsional via 구조를 제안, 구현하여 세계 최고의 신뢰성을 달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세대지능형반도체개발사업 지원)
24년 2월 호 [류민정 제1저자] 국소적인 강유전체 분극 전환을 활용해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높은 검색 정확도와 대규모 어레이를 달성하는 삼진 내용 주소화 메모리를 세계최초로 구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첨부파일 (2개)
- IEEE_EDL_24년12월_커버.pdf (2 MB, download:99)
- IEEE_EDL_24년2월_커버.pdf (63 KB, download: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