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전기·정보세미나3] 6월 13일 Ambient intelligence 구현을 위한 로봇 기술
875. Ambient intelligence 구현을 위한 로봇 기술
¾연사: 최인혁 네이버 COO &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
¾일시: 2019년 6월 13일(목), 17:00 ~ 18:00
¾장소: 서울대학교 제1공학관(301동) 118호
Abstract:
본 강연에서는 글로벌 기업 네이버의 기술 소개와 함께 Ambient intelligence(생활환경 지능)구현을 위한 로봇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Ambient intelligence는 '상황과 환경을 인지하고 이해해 필요한 정보나 액션을 적시에 자연스럽게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술 구현에 가장 중요한 맥락은 위치와 이동이며, 그 근간이 되는 플랫폼은 지도이다. 사람이 사는 공간인 실내, 실외, 도로 등에서 음영 지역이 없는 정밀한 측위가 가능해야 하고, 변화하는 생활 환경 정보가 항상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되어야 하며, 이동 객체의 의도와 상황을 이해해야 Ambient intelligence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로봇은 이러한 기술 구현을 위한 핵심 도구이다. 매핑 로봇이 만든 고정밀 3차원 실내 지도 위에서 visual & sensor-fusion localization 기술을 기반으로 별도의 인프라 구축 없이도 정확하게 위치를 인식하고, 지형지물을 통해 TBT (turn-by-turn) 정보를 제공하며, AR navigation을 통해 더욱 직관적인 길 안내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를 자율주행하는 서비스 로봇이 촬영한 영상을 통해 실내 지도의 최신성을 자동으로 유지하는 Self-updating map 기술도 구현이 가능하다.
3차원 실내지도와 클라우드 기반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 기술을 바탕으로 서비스 로봇의 제작 단가는 낮추면서, 고품질의 자율주행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실외와 도로로 확장하여 자율주행 자동차, HD Map, ADAS 등으로도 응용하고 있다.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는 클라우드와 더불어, 5G 통신의 초저지연에 주목하고 있다. 두뇌 역할의 고성능 컴퓨터를 외부 서버에 두고, 5G를 활용하여 고정밀 제어를 할 수 있는 브레인리스 로봇 (brainless robot)기술을 통해 로봇의 제작 단가를 낮추면서도 필요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강연을 통해, 로봇 기술을 사람이 머무르고 이동하는 모든 공간에서 삶의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도구와 서비스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함께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가진다.
Biography:
l 최인혁 l Education 1989 - 1993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 학사 1993 - 1995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 석사 l Career 2018 – 현재 네이버 COO, 경영리더 2016 – 2018 네이버 비즈니스위원회 리더 2014 – 현재 해피빈재단 대표 2013 - 2015 네이버 I&S 이사 2005 – 2013 NHN 이사 2000 – 현재 NHN 1995 – 1999 삼성SDS |
l 석상옥 l Education 1995 - 2002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학사 2002 - 2004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석사 2009 - 2014 MIT 기계공학과 로보틱스 박사 l Career 2018 - 현재 KAIST 기계공학과 겸직교수 2015 - 현재 NAVER Labs, 대표(2019~) 2014 - 2015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 2004 - 2009 National Instruments 전략마케팅 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