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학부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기고] 스마트時代가 요구하는 ‘파괴적 혁신’ (문화일보, 2012.10.05)

언론보도
[기고] 스마트時代가 요구하는 ‘파괴적 혁신’ (문화일보, 2012.10.05)

차상균/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지난해 10월5일 스티브 잡스가 세상을 떠났을 때 세간의 관심은 크게 두 가지로 모아졌다. 과연 애플이 잡스 없이도 끊임없는 자기 혁신의 관성(慣...
2012.10.09.l 21825
[기고] 문제는 표절이 아닌 연구실적 (중앙일보, 2012.10.05)

언론보도
[기고] 문제는 표절이 아닌 연구실적 (중앙일보, 2012.10.05)

성원용 서울대 교수·전기정보공학부  공직 후보자의 논문 표절 여부는 근래 가장 시끄러운 검증 항목의 하나가 됐다. 안철수씨의 경우에도 학생의 석사논문을 지도교수도 아니면서 공동저자...
2012.10.07.l 21659
[기고]홀로그래피 기술, 한국의 미래산업으로 육성해야(한국경제, 12.9.17)

언론보도
[기고]홀로그래피 기술, 한국의 미래산업으로 육성해야(한국경제, 12.9.17)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계에서는 대화면, 고해상도, 고화질 영상을 위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평판 디스플레이 이후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 대한...
2012.09.19.l 21258
[기고] 전기요금체계 개편이 절실하다 (서울신문, 2012.9.14.)

언론보도
[기고] 전기요금체계 개편이 절실하다 (서울신문, 2012.9.14.)

[김용권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2011년 9월 대규모 정전 위기를 겪으면서 전력에 관한 국민의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다. 전기를 값싸게 쓰는 것도 좋지만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2012.09.14.l 20532
다양한 공격 차단하는 독창적인 보안탐지기술 나왔다!(보안뉴스, 2012.9.12)

언론보도
다양한 공격 차단하는 독창적인 보안탐지기술 나왔다!(보안뉴스, 2012.9.12)

강병훈·백윤흥 교수팀 공동연구의 결과물로 ACM CCS 논문 채택 독창성 인정받아 한 글로벌 보안업체와 상용화 논의중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백윤흥 교수] 리눅스 커널의 무결성...
2012.09.12.l 21182
[기고]복지·경제 민주화보다 지식창조사회 전환이 우선(조선일보, 2012.9.10)

언론보도
[기고]복지·경제 민주화보다 지식창조사회 전환이 우선(조선일보, 2012.9.10)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기 교수] 지식창조시대 도래했지만 우리는 제대로 대응 못해 중화학공업, 전자산업 등 산업화 비결이 이젠 장애로 산업사회적 구태 혁파 없이는 제로섬게임밖에...
2012.09.10.l 21780
이병호 서울대 교수팀, 편광스크린으로 입체감 구현 기술 개발(동아일보, 2012.9.7)

언론보도
이병호 서울대 교수팀, 편광스크린으로 입체감 구현 기술 개발(동아일보, 2012.9.7)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안경을 끼지 않고도 극장에서 3차원(3D)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술이 한국에서 개발되고 있다.” 지난달 21일 영국 BBC는 이병호 서울대...
2012.09.07.l 25726
32살에 서울대 교수된 男 "경비가 핀잔을…" (조선경제, 2012.8.31)

언론보도
32살에 서울대 교수된 男 "경비가 핀잔을…" (조선경제, 2012.8.31)

[한국을 먹여 살릴 과학자] 서울대 권성훈 교수 개인맞춤형 의학에 필수인 초고속진단·분석기술 연구 컬러 코드 입자 개발… 단 한 번의 혈액검사로 수만개의 검사 끝낼수 있어 올 7월...
2012.08.31.l 23053
[미국광학회(OSA)의 언론 배포자료]차세대 3차원 영화관: 광학 기술의 발전으로 무안경식이 가능하게 된다.(2012.8.21, 뉴시스)

언론보도
[미국광학회(OSA)의 언론 배포자료]차세대 3차원 영화관: 광학 기술의 발전으로 무안경식이 가능하게 된다.(2012.8.21, 뉴시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초창기 영화 제작시기부터 영화 제작자들은 다양한 깊이를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기술들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최...
2012.08.22.l 24796
권성훈 교수, 창의선도 연구자 선정(조선일보, 2012.7.27)

언론보도
권성훈 교수, 창의선도 연구자 선정(조선일보, 2012.7.27)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 서울대가 교내의 우수 연구 교수들을 '창의선도 연구자'로 선정, 연구비를 파격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올해의 '창의선도 연구...
2012.07.27.l 21738
디스플레이, 제3의 물결이 온다(ET News, 2012.7.10)

언론보도
디스플레이, 제3의 물결이 온다(ET News, 2012.7.10)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이신두 교수] [디스플레이, 제3의 물결이 온다] 인터뷰-이신두 서울대 교수 “이제 디스플레이 크기를 키우고 단계별 투자를 통해 성장하는 단계는 지났습니다...
2012.07.11.l 21615
한국인이 만든 세계적 소프트웨어 '하나'(동아일보, 2012.7.11)

언론보도
한국인이 만든 세계적 소프트웨어 '하나'(동아일보, 2012.7.11)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차상균 교수] 한국인이 만든 세계적 소프트웨어가 있다. 이름은 하나(HANA). 세계 최대의 기업용 소프트웨어 회사인 독일 SAP가 판다. 네슬레와 다임러...
2012.07.11.l 2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