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01 l Hit 3685
과학기술 석학기관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최근 과학기술계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만 43세 이하 젊은 과학자 33인을 2022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으로 선출했다고 1일 밝혔다.
2021-12-01 l Hit 4514
서울대학교는 1일 '서울대학교 학술 연구상' 시상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교수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고 연구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2008년 '서울대학교 학술 연구상'을 제정했다. 2018년부터는 '서울대학교 교육상'과 통합해 '서울대학교 학술 연구 교육상 연구 부문, 교육 부문'으로 시상하고 있다.
2021-11-29 l Hit 3934
서승우 서울대 교수가 차기 대한전자공학회장에 선출됐다. 대한전자공학회는 26일 송도 컨벤시아에서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서승우 교수를 제 52대 회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2022년 1월 1일부터 1년이다.
2021-11-27 l Hit 3305
EBS 특별기획 ‘시대와의 대화’(3부작), 제1편 정보통신공학자 이병기 교수 / 2021.11.27.(토) 오후 2:00~ “정보통신이라는 금자탑을 쌓아가는 데 작은 돌 하나를 얹었을 뿐입니다.”
2021-11-22 l Hit 3717
미국과 중국이 첨예하게 과학 기술과 군사력에서 대치하는 새로운 세계 질서에서 지난 40여 년간 어렵게 일궈온 한국 산업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정당은 없다. 앞서 있다고 자부했던 반도체 산업에서 대만의 TSMC가 우리보다 앞서 나가자 대학의 반도체 분야 정원을 일부 늘리고 얼마간의 연구비를 늘리겠다는 일차원적 대응책이 전부이다.
2021-11-19 l Hit 2756
홍용택 교수 연구팀(이병문 박사, 조현 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박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신축성 기판 내 열전달 소재의 자기 정렬’과 ‘신축성 기판과 신축성 전극의 복합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2021-11-19 l Hit 427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 연구팀은 MRI에서 사용되는 전자파 파형을 인공지능이 스스로 설계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2021-11-16 l Hit 281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병호)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와 성균관대학교 임재훈 교수 공동 연구팀(이태수, 김병재 1저자)이 고휘도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 가능한 양자점 소재 및 소자 구조와 최대 330만 nit의 빛을 내고, 수만 nit의 고휘도 구동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초고휘도 적색 QLED를 개발했다고 16일(화) 밝혔다.
2021-11-02 l Hit 3202
지난달 25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차상균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원장을 만났다. 차 원장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신산업에 맞춘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관련 대학원 설립을 주도했으며 지난해 결실을 맺었다. 지금은 인재 양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2021-10-05 l Hit 3856
심병효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교신저자), 지형주 삼성전자 연구원 (제1저자, 2019년 우리 학부 박사졸업)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IEEE COMSOC (국제전기전자학회 통신 소사이어티)의 Asia Pacific Outstanding Paper Award수상자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