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학부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언론보도
곽정훈 교수, '이중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구동 메커니즘' 발견(베리타스알파,2022.07.20)

광운대는 최근 전자공학과 이현호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 연구팀과 이중으로 적층한 독자적인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구조를 제안해 전하 주입에 따른 발광 구동 메커니즘을 보고했다고 20일 밝혔다.
2022.07.20.l 2300

언론보도
노종선 교수, 세계에서 가장 앞선 프라이버시 보장 인공지능 기술 개발(인공지능신문,2022.07.19)

자체 개발한 고정밀 동형암호 기술로 암호화한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서 고속으로 처리하는 기술로 의료 영상이나 개인의 금융 정보 등을 암호화하고 이를 서버로 보내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면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2022.07.19.l 2943

언론보도
이혁재 교수, 반도체 인력 양성이 필요한 이유 [이혁재의 칩 비하인드](서울경제,2022.07.16)

6월 30일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에서 3나노 공정 양산을 발표했다. 올해 하반기 양산 계획을 갖고 있는 대만의 TSMC에 비해 대략 3~6개월 정도 먼저 시작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많은 언론에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기술이 대만에 앞서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희망적인 보도를 했다.
2022.07.16.l 2429

언론보도
서승우 교수, “5년 내 반도체 中에 추월 우려…무전공 도입 등으로 인재·기술 확보를”(서울경제,2022.07.11)

올 1분기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시장에서 SMIC 등 중국 업체의 점유율(10.2%)이 처음으로 10%를 넘었다.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반도체 굴기’에 속도를 내며 한국을 맹추격하고 있다. 대만의 TSMC는 삼성전자와의 점유율 격차를 더 벌리며 앞서가고 있다.
2022.07.11.l 2534

언론보도
김장우 교수, [바스리] 망고부스트 “그 어렵다는 DPU, 제가 점령하겠습니다”(바이라인네트워크,2022.07.10)

“교수 생활을 하면서 좋은 연구결과를 냈다. 그 자체로도 좋은 성과지만 개인적으로 최고의 결과를 냈다는 자부심이 있는데, 대중이 모른다는 사실이 아쉬웠다. 이를 세계에 보여주고 싶어 망고부스트를 창업하게 됐다.”
2022.07.10.l 3439

언론보도
이종호 장관,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전 '양자 기술'(전자신문,2022.07.09)

이르게 찾아온 더위만큼 양자 기술의 뜨거운 열기를 체감했다. 세계적으로 필수전략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는 양자 기술의 흐름과 현 주소, 향후 과제를 총망라하는 '2022년 양자정보주간' 행사가 열렸기 때문이다. 기업, 대학, 연구소, 공공기관 등 전국 각계에서 관계자들이 참여해 열띤 소통의 장을 펼쳤다.
2022.07.09.l 2311

언론보도
이종호 장관, ‘3D 반도체 父’ 이종호 장관 “산학연→인재→초격차 기술 개발(조선비즈,2022.07.06)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6월 22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반도체 강국이 되기 위한 조건을 이렇게 말했다. 최근 이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과 장관들이 참석한 국무회의와 국민의힘 의원들을 대상으로 ‘반도체 특강’을 진행했다
2022.07.06.l 2375

언론보도
권성훈 교수,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이데일리,2022.07.06)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7월 수상자로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6일 선정했다.
2022.07.06.l 2502

언론보도
조동일 교수, 헤엄쳐 다가온 거북이 한마리... 적이 보낸 정찰 로봇이었다(조선일보,2022.06.19)

조동일 서울대 국방생체모방연구센터장은 지난 16일 한국국방MICE연구원 등 주최로 열린 ‘미래전 지원을 위한 무인·자율시스템 발전 세미나’에서 다양한 국내 생체모방로봇 개발 실태를 공개했다. 조 교수는 ‘미래전 지원을 위한 한국형 초소형 생체모방로봇 기술’ 주제 발표를 통해 서울대 생체모방자율로봇 특화연구센터가 지난 2013년 11월부터 2021년까지 9년간 국방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초소형 생체모방로봇들을 공개했다
2022.06.19.l 4202

언론보도
신형철 교수, 지역별 특화 필요한 반도체 인재 전략(문화일보,2022.06.14)

반도체 산업은 21세기 최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이므로 미국·일본·중국·대만·유럽연합(EU) 등을 포함한 국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또, 급속한 기술 혁신이 필요한 만큼 지속적인 연구·개발(R&D)과 대규모 시설 투자가 필요하다. 반도체 분야에서 활약할 충분한 수의 고급 인력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2022.06.14.l 3763

언론보도
심병효 교수, “우리가 6G에 주목하는 이유” 세계 통신 석학·전문가가 본 6G의 미래(2022.05.20)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심병효 교수는 '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 통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탐지 및 빔포밍'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서 미래에는 AR, VR, XR, 메타버스 등 더 많은 응용 기술이 출현함에 따라 기존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속도가 필요하며 전송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밀리미터파/테라헤르츠 대역 빔포밍의 성능 향상이 매우...
2022.06.03.l 4067

언론보도
권성훈 교수, 서울대 공대 권성훈 교수팀-서울대 의대 한원식 교수팀, 병렬적 항암 신약 발굴 신기술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직무대리 송준호)은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 연구팀과 의과대학 한원식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들이 특이적으로 나타내는 RNA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항암 신약 타겟을 발굴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2022.06.01.l 3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