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학부의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언론보도
김장우 교수, 서울대 교수가 제자들과 함께 만든 스타트업 망고부스트, 130억원 규모 시드 투자 유치(한경,2022.05.30)

망고부스트는 김장우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제자들과 함께 올해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서울대 연구진과 국내외 글로벌 대기업에서 DPU관련 반도체, 소프트웨어를 오랫동안 개발해 온 전문성을 갖춘 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2022.05.30.l 4905

언론보도
민규식 동문, 세계 스타트업 창업가 대회(EWC)서 대상 수상(전자신문,2021.12.28)

인공와우 전문 기업 ㈜토닥(TODOC Co., Ltd, 대표 민규식)이 2021년도 세계 스타트업 창업가 대회(이하 EWC, Entrepreneurship World Cup 2021)에서 대상(Grand Prize)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022.05.25.l 4008

언론보도
이종호S 교수,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만들자”(동아일보,2022.05.12)

이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비대면으로 열린 취임식에서 “우리는 지금 기술 대변혁의 한복판에 서 있다”며 “여러분들과 과학기술 5대 강국, 디지털 경제 패권 국가라는 담대한 미래를 함께 꿈꾸며 함께 만들어 가고 싶다”고 밝혔다.
2022.05.12.l 3945

언론보도
이종호S 교수, 과기정통부 장관 취임 "디지털경쟁력 제고 주력·尹 대통령에게 ICT 홀대론 전달"(전자신문,2022.05.11)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디지털 경제 패권 국가·과학기술 5대 강국'을 실현하고,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축에 핵심 역할을 하가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2022.05.11.l 3834

언론보도
이혁재 교수, “반도체 전문인력 부족…서울대가 찾은 해법은”(동아일보,2022.05.02)

반도체 업계는 전문 인력의 부족을 끊임없이 호소하지만, 인력난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전공 학생 수가 크게 늘지 않은 데다가, 자율주행차와 같은 첨단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반도체의 중요성이 더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재 확보 전쟁이 펼쳐지기 때문이다.
2022.05.02.l 4179

언론보도
이혁재 교수, “반도체 인력 양성, 서울대 교육 이념과 동떨어진 것 아니다”(중앙선데이,2022.04.30)

5G(5세대) 이동통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등과 같은 첨단산업의 등장으로 반도체의 중요성은 이전보다 더 커졌다.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중추이자 국가 간 첨단 기술력 대결의 핵심이 됐다. 그러다 보니 ‘반도체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주요국의 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2022.04.30.l 4178

언론보도
박병국·윤성로 교수, 2022 NetSec-KR,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개최...유공자 정부포상 수여(데일리시큐,2022.04.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우일, 이하 ‘과총’)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회장 노준형, 이하 ‘ICT대연합’)은 4월 21일 오후 14시 30분에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22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2022.04.22.l 4427

언론보도
차상균 교수, '삼성 호암상' 수상자 선정(아시아경제,2022.04.06)

삼성 호암재단이 창의적이고 선도적인 업적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인정받는 전문가 5명과 단체 1개를 '2022 삼성호암상' 수상자로 선정해 발표했다.
2022.04.06.l 4382

언론보도
차상균 교수, "반도체 이후 혁신 이끌 인재·기업 양성하려면 대학 재정 지원부터 늘려라”(서울경제,2022.04.04)

“한국이 반도체 이후의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려면 날카로운 무기를 가지고 글로벌 시장을 뚫고 나갈 수 있는 인재를 키워야 합니다. 대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규제를 풀어야 합니다.” 차상균(63)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장은 최근 서울경제와 가진 인터뷰에서 “혁신의 세계는 승자독식"이라며 “누가 파괴적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인재와 기업을 양성·육성하는가가 승부를 결정한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2022.04.04.l 3082

언론보도
심병효 교수, “LTE 의존하는 반쪽짜리 5G… 28㎓ 투자하고, 쓸 기업 발굴해야”(조선비즈,2022.04.02)

“한국이 5G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해서 서비스가 어느 정도 안정된 것은 인정할 부분이다. 실제 다운로드 속도가 LTE에 비해 2~3배 빨라진 것은 사실이다. 다만 커버리지,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해 많은 기지국 설치가 필요한데, 통신사가 비즈니스, 비용 문제로 이를 주저하니 소비자 체감상으로는 품질이 안 좋다는 불만이 나오는 것이다. 5G망에 대한 투자와 이를 통한 커버리지 확대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2022.04.02.l 4570

언론보도
차상균 교수, ‘골리앗’ 러에 맞선 ‘다윗’ 우크라의 힘은 디지털 리더 양성(중앙선데이,2022.04.02)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5주가 지났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독재자, 전범이라고 부르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한 국가의 주권이 무참히 훼손됐다. 로이터에 따르면 지금까지 최소 1000만명의 난민과 2만3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022.04.02.l 5998

언론보도
이신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공대, 정년퇴임한 교수들의 정년식 거행(한국강사신문,2022.03.2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정년퇴임한 교수들의 정년식을 거행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병호)이 23일(수) 정년퇴임한 교수들의 정년식을 거행했다고 28일 밝혔다.
2022.03.28.l 4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