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단위의 초미세 기계인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멤스) 분야의 전문가지만, 그의 기술은 의학 분야 기술에 더 많이 응용되고 있다. 조금이라도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면 생명이 위독해질 수도 있는 응급 패혈증 환자를 진단하기 위해 그가 개발한 초고속 항생제 감수성 검사 기술이 대표적이다.
이경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구글은 AI 전문 ‘딥마인드’, 인텔은 자율주행차 기술을 보유한 ‘모빌아이’, 바이두는 얼굴인식 개발 ‘센스타임’을 인수하는 등 초우수 인재 확보전에 나섰다”며 “우리도 빨리 ‘어떤 인재’를 키울 것인지 정해 글로벌 사업자들을 빠르게 추격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전기정보공학부 석박통합과정 1년차 손서윤 학생은 (지도교수 김성재) 프랑스 그랑제꼴 에꼴데민 쌩떼치엔(École des Mines de Saint-Étienne)에 석사 복수 학위 과정에 입학 허가를 받았다. 프랑스 그랑제꼴 에꼴데민 쌩떼치엔은 바이오-전기공학 융합 분야에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는 명문 대학으로 서울대학교와는 2007년부터 MoU를 가지고 있어 매년 복수 석사 학위제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대 공대(학장 차국헌)는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가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 양성을 위해 3000만원을 기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교수의 기부금은 서울대 공대가 개발한 'IoT·인공지능·빅데이터 개론 및 실습' 교과목 수강을 위한 다량의 고성능 컴퓨터 구매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는 한국전기연구원, 숭실대 산학협력단과 공동 주최하고 서울대 전력연구소와 전기산업 통일연구협의회(회장 문승일 서울대 교수)가 주관하는 ‘남북 전기산업 협력 및 진출전략’ 세미나를 오는 26일 오후 2시부터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이자 기초 전력 연구원 원장 정현교 교수는 “서울대에서 국내 첫 블록체인 기반의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와 에너지 R&D 센터 설립을 앞두고 있다”고 밝히며 “에너지 블록체인 기술은 현 대한민국이 직면한 에너지 및 대기오염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완화할 수 있고, 본교는 이러한 분산화 재생 에너지의 개발을...
이탈리아 베네토주 파도바에 위치한 명문대학들 중 하나인 파도바 대학(Università degli studi di Padova, 약칭 UNIPD)과 우리 학부가 국제교류협정을 체결함으로서, 교수 및 학생 상호 방문을 통하여 활발한 학술 연구교류 및 실질적인 협력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